- 전자과 공대생 블로그(전자회로)
- 전자과 공대생 블로그2(전자기학)
- 배고픈 대학원생 (RF 아날로그)
- 나라발전 교수님 (아날로그)
- [VOD] IDEC 아날로그회로 - 고형호 교수님 (충…
- [VOD] IDEC 아날로그회로2
- [VOD] IDEC 아날로그회로3 - 이강윤 교수님(성…
- [VOD] IDEC 아날로그회로 직관적해석 - 심재윤 …
- [VOD] IDEC 아날로그 LNA - 고형호 교수님 …
- [VOD] Cadence OPAMP Verificati…
- [VOD] IDEC Full-Custom Flow 교육…
- [VOD] IDEC RF System-유형준 교수님(K…
- [VOD] IDEC 디지털 Cell-based 설계
- [VOD] IDEC PLL
- [VOD] IDEC CentOS 7 (Linux)
- [VOD] Band Gap Reference 정리
- [강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 [강의] OpAmp > CMFB
- [강의] 변박사님 : OpAmp, Radar
합법적사기꾼지망생
전자장 Ch12.? . stability index ( stabindex ) 본문
전자장 Ch12.? . stability index ( stabindex )
평범한 민석이 2024. 12. 29. 08:261. Stability Index란?
Cadence에는 stabindex라는 stability index를 제공한다.

multi-stage amplifier의 stability를 확인하기 위해서 s-probe로 중간을 잘라 S11과 S22를 곱해서 real 성분이 1보다 크면 발진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stabindex < 1이어야 stable한 회로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Cadence Sprobe stabindex | Forum for Electronics
Cadence Sprobe stabindex
Hi all, I am designing a two stage LNA, and so I am using the Sprobe to check for the stability. there is a "stab index" function in the sprobe for the sp analysis, however I am unsure how to use it. For stability FACTOR, I know it has to be greater than 1
www.edaboard.com
2. Stability index의 원리
stabindex의 발진계수의 곱이 필요하다는 것은 Gonzalez나 염경환 교수님 교재에서 충분히 알 수 있다.
발진의 원리를 식으로 풀어서 정리하면 아래의 표와 같이 된다.

이는 스미스 차트상에서 아래와 같이 나타난다.


이는 곧 Nyquist Stability Criterion과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즉 실수값의 절댓값이 1보다 클 때 자주 발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9.1.2.α Compressed Smith Chart를 통한 직렬/병렬 발진 판별
*9.1.2.α Compressed Smith Chart를 통한 직렬/병렬 발진 판별
1. Compressed Smith Chart Smith Chart에서 Negative Resistance를 확장한 차트이다 2. 직렬 발진의 S-parameter 개형 단, Zc is small enough (Yc is large enough) 3. 병렬 발진의 S-parameter 개형 단, Zc is large enough (Yc is small enough
tgs05016.tistory.com
3. Stability Index의 타당성
합리적이긴하다. 하지만 unconditionally stable한 amp를 설계하고 난뒤 내부 발진을 확인하기 위해서 해당 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A2_전자기학 & 전자장 > Microwave Engineering - Poz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arameter De-embedding (TRL) (feat. ABCD parameters) (0) | 2025.01.02 |
---|---|
전자장 Ch02. ?. CPW(co-planner waveguide)의 장단점 비교 (0) | 2024.12.30 |
전자장 Ch01. TEM TM TE 모드 Field 분석eld 분석 (0) | 2024.12.23 |
전자장 Ch01.? . Skin Depth 계산법 (도체 종류, 주파수 정보 필요) (0) | 2024.12.14 |
***전자장 Ch01.2 Load 입장에서 전송선이론 (0) | 2024.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