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로그] 전자과 공대생 블로그(전자회로)
- [블로그] 전자과 공대생(전자기학)
- [블로그] 배고픈 대학원생 (RF 아날로그)
- [블로그] 나라발전 교수님 (아날로그)
- [블로그] 전자과 숩달씨 ( 아날로그 회로 Razavi…
- [VOD] IDEC 아날로그회로 - 고형호 교수님 (충…
- [VOD] IDEC 아날로그회로2
- [VOD] IDEC 아날로그회로3 - 이강윤 교수님(성…
- [VOD] IDEC 아날로그회로 직관적해석 - 심재윤 …
- [VOD] IDEC 아날로그 LNA - 고형호 교수님 …
- [VOD] IDEC 아날로그집적회로 실습
- [VOD] Cadence OPAMP Verificati…
- [VOD] IDEC Full-Custom Flow 교육…
- [VOD] IDEC RF System-유형준 교수님(K…
- [VOD] IDEC 디지털 Cell-based 설계
- [VOD] IDEC PLL
- [VOD] IDEC CentOS 7 (Linux)
- [VOD] Band Gap Reference 정리
- [강의] 회로설계 멘토 삼코치
- [강의] OpAmp > CMFB
- [강의] 변박사님 : OpAmp, Radar
- [강의] PMIC - 박병하 교수님 (유료)
- [강의] 삼코치 -아날로그 회설 직무 (유료)
목록전체 글 (332)
합법적사기꾼지망생
(4) probleme dataset ads... | Forum for Electronics (edaboard.com) probleme dataset ads... hello in ADS momentum I simulate a design that has a name, for example (patch1) when I run the simulation , and after obtaining the S parmetres , dataset will have a different name by default, when i go to data (users/default/project/data) and I delete the www.edaboard.com .ds are the simulation results fr..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가 이해한 바로는 GND(접지회로 혹은 Short=단락)는 전압이 0이고 전류가 최대인 지점이다. Open(개방회로)는 전압이 최대이고 전류가 0인 지점이다. 이는 Smith Chart에서도 드러난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1. Voltage & Current Open Stub, Short Stub에 흐르는 Average Power는 0이다.(무효전력만이 존재한다.) 위 값들은 이미 Phasor Form형태의 값이므로 그냥 단순히 conjugate 곱을 취해주면 Complex Power를 구할 수 있다. 전기회로2-Ch10.2 Complex Power (tistory.com) 전기회로2-Ch10.2 Complex Power 1. Complex Power (1) Complex Power ※ Unit of Powers (2) Power Factor Angle (3) 계산식 ver1(rms) ※ rms 성분의 방향 (4) 계산식 ver2(peak) ※ rms값의 공식(effective voltage, current) ※ alte..

1. Complex Power (1) Complex Power ※ Unit of Powers (2) Power Factor Angle (3) 계산식 ver1(rms) ※ rms 성분의 방향 (4) 계산식 ver2(peak) ※ rms값의 공식(effective voltage, current) ※ alternate forms for complex power (1) rms Current ver (2) rms Voltage ver 2. Maximum Power Transfer Condition & Maximum Transfered Power (1) Maximum Power Transfer Condition 조건 ※ 증명법 :자세한건 교재참조 (2) 최대 전달 전력 3. Apparent Power (=피상전력)..

1. Instantaneous Power (1) 전압과 전류의 방향 정의 (2) (time domain)Instantaneouse Power, Average Power (=Real Power, 유효전력), Reactive Power (= 무효전력) : 식을 유도하다 보니 P= Average Power가 나왔다는 느낌 : v와 i를 곱하면 2nd harmonic 신호가 측정된다?!? (3) Average Power vs. Reactive Power 유효전력이란, 평균적으로 전력공급원에서 부하(저항)으로 전달되는 전력을 말합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면, 흡수 또는 소비되는 전력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단위는 [W] 입니다. 무효전력이란, 전력공급원과 부하(인덕터, 커패시터) 간에 서로 교환되는 전력을 말합니다...

0. 가정: Lossless, Passive Matching Network) 1. 한 개의 node에서 conjugate matching이 이뤄졌다고 가정하면 모든 Node에 대해서 conjugate matching이 이뤄진다. 2. 한 개의 node에서 conjugate matching이 이뤄지면 모든 Node들에서의 전력은 동일하다. 참고로, 특성저항이 모든 노드들에서 50옴이 아니므로 전력을 1/2 * real(V × I*)로 구해야한다.(전기회로2 복소전력 내용 참조) 3. 전달할 수 있는 최대 전력은 Generator 전력의 1/2이다 그래서 generator의 input impedance를 최대한 작게 만들어줘야한다. reference) Pozar의 교재 2.6챕터 마지막 줄 Reference..

1. Compressed Smith ChartSmith Chart에서 Negative Resistance를 확장한 차트이다 2. 직렬 발진의 S-parameter 개형단, Zc is small enough (Yc is large enough) 3. 병렬 발진의 S-parameter 개형단, Zc is large enough (Yc is small enough) 참조4. Output Power를 크게 하는 방법Negative Resistance/Admittance가 클수록 Fundamental Power의 크기가 크므로 최대한 Smithchart의 단위원( 반지름 of Γin = 1 )에 가까울수록 파워가 좋다.전자장 Ch13.3 Oscillator의 Ouput Power을 높이는 방법 (tistory.c..

1. Introduction 여태 우리는 맥스웰 방정식에서 Source(특히 Current Source. J)가 없는 Homogeneous 상황을 다뤘고(아래식 참조). 해당 상황의 해중 가장 간단한 해인 Plane Wave 를 구했다. 하지만 이제는 우리는 Current Source로 등가회로화 할 수 있는 Antenna를 추가하여 HelmHoltz방정식을 풀 것이다. 2. 결말 미리보기 (1) 안테나에 가까운 주변의 장은 Near-Field라고 한다. 해당 지점에는 Intrinsic Impedance 또한 적용되지않는다. 해당 지점에서는 전자기장이 묶여있어서 Sinsoidal로 On/Off를 반복한다. 그래서 Loss가 없는 Ideal Inductor로 보인다. (2) 안테나에서 한 파장 이상만(정확..
Overview 09-A 안테나 전파공식 09-B The Hertzian Dipole 09-C Transmitter Antenna > Patern 09-D Transmitter Antenna > Efficiency 09-E Resonance 09-F Source ↔ Field Transformation reference Ulaby 교재, Stutzman -Antenna Thoery and Design

1. 측정저항의 중요성 측정저항에 따라서 LoopGain이 달라진다. 그래서 측정저항이 어떠한 값이냐에 따라, 직렬발진이 잡힐 수도 있고, 혹은 병렬발진이 보일 수가 있다. 2. Loop Gain 식 and Duality (1) 직렬발진 위를 그래프로 그리면 아래와 같다. 즉 직렬발진을 보려면 충분히 Zc가 커야한다. (2) 병렬발진 위를 그래프로 그리면 아래와 같다. 즉 병렬발진을 보려면 충분히 Zc가 작아야한다. 3. Duality of Reflection Coefficient 발진 판별법 :임피던스 및 어드미턴스 발진 판별법으로 추가 검증을하면 좋다. *참조 4. OscTest 다는방법 (1) 직렬 (2)병렬 5. OscPort란? (1) OscTest OscTest는 Small-signal sim..

1. Small-signal 관점(=transient.start-up) Reflection Coefficient 직렬발진 판별법(측정저항=Zc가 충분히 클 때) : Barkhaussen Oscillation Condition + Stable Oscillation Condition (1) 전제조건 : 회로 내부 자체적인 발진 Loop는 없다. 즉, 외부 Load의 Impedance에 무관하게 발진하는 Device는 아니라는 것이다. 결국에는 발진의 유무가 Load의 Impedance에만 dependent한 상황을 가정하자. LoopGain이란 Small-signal Gain/Large-signal Gain을 둘다 의미하며, 1-Cycle에의한 Signal의 Gain을 의미한다.(그래서 Ideal Circu..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직렬발진 판별법 & 병렬발진 판별법에서 Port 다는 방법 : Schematic 참조(교재) (1) 직렬 발진 검증 포트 (2) 병렬 발진 검증 포트

※ 직렬발진 vs. 병렬발진 구분 방법 : R_Load와 R_Active의 관계. 1. Duality : Impedance / Admittance 판별법 (직렬, 전류 발진 / 병렬, 전압 발진)우선 결론 부터 말하자면 위와 같다. 쉽게말해, 병렬발진을 어드미턴스로도 볼 수 있고, 직렬발진을 임피던스로도 볼 수 있다. 2. Proof 증명 1: Resistance와 Impedance 부호가 반대인 이유실수부 : negative resistance of 직렬발진 = positive admittance of 직렬발진 이 언제나 성립한다(반대도 성립)위를 .명해보자우선 직렬발진이라면 아래와 같이 될 것이다.참고로 Load는 대부분 50Port인 Transmission Line이므로 위와 같이 정의된다. 그리고..

0. 발진을 보자 우선 소신호 관점에서 Negative Resistance가 나오고 해당 지점에서 Reactance가 0이면 발진한다는 정도는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과연 그게 전부일까? 좀 더 시각을 넓혀보자 우선 몇가지좀 집고 넘어가자 (1) 소신호로 식을 풀때 진폭은 거의 0이다 (2) start-up (=small-signal )발진주파수와 steady-state(=large-signal)발진주파수는 기본적으로 다르다! 하지만 아래의 조건들이 성립하면 거의 유사하다. 1. 전류 발진 = 직렬 발진 = 임피던스 발진 Load는 Passive로 이루어져있으므로 I(진폭)에 무관하다. 하지만 Active Device는 I에 dependent하다. 그러므로 직렬발진은 위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장단..

1. 2차 선형 상미분 방정식 : ※ 참고로 응답 = response = solution of ODE이다. 위와 같은 2차 선형 상미분방정식의 일반해는 아래와 같은형태를 띈다.(s는 복소수) 그리고 RLC회로의 Sinsoidal Response에대한 s1과 s2를 구하면 아래와 같다. 즉 2차 선형 상미분방정식의 일반해는 아래와 같이 정리된다. 아래는 이를 적용한 RLC Circuit의 분석이다.(sinsoidal response) Series RLC Circuit Parallel RLC Circuit 2. 해의 분류 (1) (under) damping cos항 존재, 진폭 exponential 감소 (2) grow-up Oscillation cos항 존재, 진폭 exponential 증가 (3) ove..

0. Large-signal의 가장 큰 특징 (1) Harmonic 성분이 존재한다. (Taylor Series) (2) Non-linear하다 → Input신호의 크기에 따라, Gain(혹은 Y, Z, Γ 등)의 Magnitude와 Phase가 달라진다. (3) Harmonic Balance(큰신호의 변화, Piecewise Linear Modeling), Period Steady State Simulation으로 측정함 (4) 대신호는 소신화 다르게 I, V, Z, Y, Γ 사이의 1:1 변환이 불가능하다. 1. Large-signal Admittance Nonlinear 소자의 양단에 걸리는 전류는 아래와 같이 나타난다.자세한것은 아래의 링크 참조* 이때, Nonlinear 소자의특성에 의해서 I_..

0. 이론적 배경 Differential Port의 특성저항(Characteristic Impedance)이 100 Ohm인 이유 (tistory.com) Differential Port의 특성저항(Characteristic Impedance)이 100 Ohm인 이유 결론: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Input Impedance들이 모두 2배가 되므로 Normalize 해야하는 값도 2배가 되어야 50 Ohm Port로 Normalized된 Smith Chart상에서 동일하게 해석이 가능하다. 원리 : Differential System의 I tgs05016.tistory.com 1. 결론 Zin = -2/gm 위 회로의 input impedance는 -2/gm 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서 아래의 small-..

결론: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Input Impedance들이 모두 2배가 되므로 Normalize 해야하는 값도 2배가 되어야 50 Ohm Port로 Normalized된 Smith Chart상에서 동일하게 해석이 가능하다. 원리 : Differential System의 Input Impedance 구하기 아래의 그림처럼 Differential CIrcuit을 저항 2개로 간단하게 나타내었다. 중간의 GND는 virtual gnd에 해당한다. 해당회로의 Zin(=input impedance)를 구해보자. - 그냥 단순히 해당 해당 지점에 Port를 달고 Loop를 끊으면된다. 예를들어 위의 Zin은 Port 상하로 Resistor가 "Series"로 달려 있음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즉 Zin = 2..

Stability Factor k를 적용하기 위해선 Positive Resistance, Small-signal, LTI System이어야한다. 그런데 이때, 내부적으로 모든 Node에 대해서 Input Impedancee가 Postivie Resistance를 가져야한다. 이를 판별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고 한다. 그냥 양단을 Short, Open시켜두고 Stalbe한지 Transient로 확인하면 된다. 이는 염경환-능동초고주파 회로설계입문을 보면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인데, 병렬/직렬 발진을 잡기위해선 측정하기위한 포트의 특성저항이 충분히 크거나(OC), 특성어드이턴스가 충분히 커야한다(SC). 그래서 아래와 같은 판별법이 적용되는 듯하다.